SEONGZY PARTNERS news

수백건 이상의 언론보도

[빅데이터뉴스]

스토킹 신고, 2차 피해의 가능성을 막고 강력 범죄를 방지하려면 초기 대응이 관건

2025-01-13

 

사진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여성 특화센터 여울 장예준 변호사 


최근 국회 통계에 따르면, 스토킹 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2023년 

7월까지 112에 접수된 스토킹 관련 신고는 5만 5,796건에 달한다. 

월평균 2,536건, 하루 평균 약 86건이 접수되었다. 또한 2021년 

10월 21일부터 2023년 7월까지 경찰이 스토킹 처벌법 위반으로 

검거한 인원은 1만 7,300명으로 나타났다.

대검찰청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7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스토킹범죄처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람은 5257명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478명으로 법 개정 전보다 

평균 77.5%(269명)가 늘었다.

스토킹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스토킹 예방과 

피해자 등을 보호·지원하기 위한 국가와 지자체 책무를 

규정하고 있다. 스토킹 신고체계 구축, 조사·연구, 

법률구조·주거지원 등 지원 서비스 제공, 협력체계 

구축, 신변노출 방지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해당 법에 따르면 `스토킹행위’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反)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에 대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스토킹범죄의 

처벌 및 그 절차에 관한 특례와 스토킹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절차를 규정한 법률로, 2021년 3월 24일 국회를 

통과해 10월 21일부터 시행됐다. 1999년 처음 발의됐으나 

지속적으로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고, 이에 스토킹은 경범죄 

처벌법인 지속적 괴롭힘으로 분류돼 ‘10만 원 이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료’에 그쳐 왔다. 그러다 2021년 

3월 스토킹범죄 처벌법이 첫 발의 22년 만에 통과되고 

6개월 뒤인 10월 21일부터 시행에 돌입하면서,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스토킹은 △상대방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면서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주거, 직장, 학교 등 생활하는 

장소에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상대방의 주거지 

근처나 그 부근에 놓여 있는 물건을 훼손하는 행위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상대방의 개인정보 등을 

제3자에게 제공, 배포, 게시하는 행위 등이다.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스토킹 행위를 전제로 하는 

스토킹 범죄는 행위자의 어떠한 행위를 매개로 이를 인식한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킴으로써 그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의 자유 및 생활 형성의 자유와 평온이 

침해되는 것을 막고 이를 보호법익으로 하는 위험범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구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2023. 7. 11. 법률 제195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스토킹 처벌법’이라 한다) 제2조 제1호 각 목의 행위가 

객관적·일반적으로 볼 때 이를 인식한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정도라고 평가될 수 있다면 

현실적으로 상대방이 불안감 내지 공포심을 갖게 되었는 

지와 관계없이 ‘스토킹 행위’에 해당하고, 나아가 그와 같은 

일련의 스토킹 행위가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스토킹 범죄’가 

립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법원 2023. 12. 14. 선고 2023도10313 판결 참조)


특히 스토킹 피해자 긴급구조 시 피해자지원기관이 

경찰에 동행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출동 시 

가해자·피해자 분리 조사, 조사 거부·방해 등 법 위반 

시 벌칙을 규정했다.

최근에는 피해자 보호를 위한 잠정조치와 긴급응급조치도 

강화됐다. 잠정조치는 피의자의 접근 금지 및 통신 

차단 등을 통해 피해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긴급응급조치는 경찰이 신속히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가처분 절차 없이도 실시된다.

이에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여성 특화센터 여울의 

장예준 변호사는 “2022년 9월 신당역 스토킹 피살사건의 

가해자 역시 피해자가 합의해 주지 않는 것에 앙심을 품고 

보복성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 과거에는 스토킹이 

경미한 행위로 신고 접수조차 되지 경우가 많았지만 

강력범죄의 발단으로 볼 수 있어 스토킹 행위에 해당할 

시 실형에 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예준 변호사는 “스토킹 처벌법에 따르면 스토킹 범죄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기에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법적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전 연인의 

스토킹 행위가 지속되고, 또 다른 범죄가 발생될까봐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두려운 상황이라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법률 조력을 받아 고소를 

진행하는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




기사원문 : https://www.thebigdata.co.kr/view.php?ud=2025011014551126636cf2d78c68_23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수집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아래와 같은 이용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보유기간 만료 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1.개인정보의 수집/이용목적항목 및 보유기간

    • 구분 : 법률서비스 제공
    • 수집항목 : 이름, 휴대전화번호, 사건정보
    • 이용목적 : 상담신청, 상담신청 안내
    • 보유기간 : 2년

2. 수집방법:정보주체의 동의

고객님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법률상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